The First Step for LED Display-Like Image Representation - Understanding Tools Part
부제 : 애프터이펙트CCballAction의 극한 활용
전광판처럼 보이게 합성하기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포토샵으로 격자무늬를 주는 것입니다.
이때 모자이크와 격자무늬를 통해, 원하는 픽셀 수 당
하나의 색상만 표출되게 하는 것이 가장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이미지에 사용되는 방법이어서,
영상물을 표현할 때는 난감합니다.
그래서 정확한 도트 표현을 하는 다른 방법을 몇 가지 시도해봤고 가져와봤습니다.
2가지 방법이 있었고, 하나는 포토샵에서 했던 것과 동일하게
애프터 이펙트의 모자이크 효과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툴만 다르지 내용이 똑같기 때문에 생략하고
에프터이펙트의 CC ballActior를 이용해서, 전광판 느낌을 내고 활용합니다.
시작하기 전에
CC ballActior에서는 숙지해야 하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해당 효과는 soild, text, comp , adjustment layer 등등 전부 적용됩니다.
해보면서 알게 된 건데 adjustment layer에 효과 적용하는 게 제일 좋네요.
가장 중요한 수치는
Grid Spacing이 가장 중요합니다.
도트 하나에 할당되는 공간을 지정해주는 수치입니다.
Ball Size는 그냥 Spacing이 할당해주는 크기 내에서 얼마만큼 채울 건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시각적으로 더 나은 수치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Grid Spacing 수치 1은 4x4의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치에 따른 어떤 패턴이 오는지 확인하려면, 수치를 입력하고 확대한 후 도트 수를 세어보면 됩니다.
제가 세봤으니 표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Grid Spacing | |
0 | 2x2 |
1 | 4x4 |
2 | 6x6 |
3 | 8x8 |
... |
CC ballActior 도트를 생성하는 방식은
패턴을 만드는 방식과 동일합니다.
도트는 해당 Grid Spacing 내에서 중앙에
ball size 만큼의 크기로 생성합니다.
3x3의 경우
8x8 px의 사각형 중앙인
x 5, y 5에 해당하는 부분에 도트가 생기는 것이죠
노란색 부분에서 구가 생성됩니다.
ㅌ | ㅌ | ㅌ | ㅌ | ㅌ | ㅌ | ㅌ | ㅌ |
ㅁ | |||||||
ㅁ | |||||||
ㅁ | |||||||
ㅁ | ㅇ | ||||||
ㅁ | |||||||
ㅁ | |||||||
ㅁ |
수치에 따라 특정 크기에서 패턴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특징이 있다면 패턴이 원형이고, 구체처럼 그림자가 져있는 것으로 통일된 것이죠
Adjustment layer는 화면 전체를 전광판으로 제작할 때 적합하므로
특정 구역만 전광판으로 만들고 싶을 경우
화면을 만들어서 comp로 묶고 그걸 올려놓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당 효과의 주의해야 할 점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원하는 크기의 도트 표현을 하기 어렵습니다.
1920x1080 해상도에
4x4의 가장 작은 도트를 적용하게 되면 그냥... 조금 어두운 영상이 됩니다.
결국 1920x1080해상도도
7,680x4,320 해상도에서 4x4 도트 이미지를 적용한 것으로 치환 가능하기 때문이죠
도트가 티나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도트 해상도로 계산 했을 때
100px 이내로 작업되야합니다.
예를 들어 1920x1080해상도에 19.2px의 도트를 적용해야 비로소
100px * 56.25px 의 화면이 되는 것이고 그나마 전광판 같이 보인다는 말입니다.
그렇지 않고, 고해상도 영상에 , 큰 도트를 적용하게 되면
도트가 제자리를 엄청나게 벗어나는 굉장한 떨림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을 주면 아래 같이 도트가 나타났다 사라졌다하면서 완성도를 떨어트리죠
<- 방법의 한계
이 방법은 영상도 표현할 수 있긴 한데
해상도가.. 최소 4픽셀이 모자이크 처리된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고로 해상도를 보전하고자 한다면
최소 픽셀 기준으로 이미지를 4배 컴포지션도 4배 키우고
Adjustment layer에 CC ball Action의 Grid 수치를 1로 적용하면 되는 것이죠
하지만 위에 흔들리는 도트처럼
되는 근본적인 해결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방법은 정확한 도트 표현이 되긴 하지만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도트 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도트 영역에 들어가 있는 색의 비율에 따라서
도트가 자주 씹힙니다. ( 도트가 제대로 안 나오기도 한다는 뜻 )
해결 방안
그렇기 때문에
시작을 굉장히 낮은 도트로 시작해야 높은 도트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애프터 이펙트에서, 작업을 해보면 알 수 있지만
원하는 해상도는 왼쪽이지만,
실제로 작업하면 마주하는 해상도는 오른쪽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상으로 도트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 것을 하기 위한 대장정!
그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드렸습니다.
한 번에 포스팅하려 했는데 내용이 길어져서
다음 글에서
1. 애프터 이펙트에서 도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2. 해상도를 높여서
3. 전광판 효과를 부여하고 사용하는 것 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별첨. 애니메이션
이동 애니메이션을 줄 수는 있다.
정말 귀찮고 어렵다.
위에서 도트 한 칸이 4x4인 것을 기준으로 함,
시작할 때 최대한 도트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맞춘다. 부족하면 보정해준다.
보정까지 완료되었다면 이동한다.
이동 좌표를 4x4에 딱 떨어지게 +4 단위로 이동하면 중간에 픽셀이 사라지지 않고
애니메이션을 줄 수 있다.
( 저해상도일 때 치명적임 고해상도에서는 두 색이 섞인 흐린 색으로 나옴 )
스크립트 작성을 통해서 포지션이 무조건 해당하는 단위로 움직이도록 코딩하는 것을 추천
xyz 수치를 만들고 배수로 가도록 해주면 작동함
'LED 전광판 > 영상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크기 문제 개선한 전광판 표현 영상 특수합성 방법 정리 -개념편 (0) | 2022.07.04 |
---|---|
After Effects로 전광판 느낌 나는 영상 만들기! - 100% 구현 완벽 정리 (0) | 2021.03.08 |
전광판 화면처럼 보이는 사진 만들기 [포토샵 사용편] (0) | 2020.12.24 |